고교학점제 완전정리! 선택과목부터 공강까지 한눈에 보는 꿀정보

2025학년도 고등학교 신입생부터 달라집니다!
지금까지의 교육 방식과는 완전히 다른, 대학식 수강신청 방식이 고등학교에 도입됩니다.
바로 **‘고교학점제’**가 본격 시행되기 때문인데요.

이 포스팅에서는 고교학점제가 도대체 뭔지,
졸업하려면 몇 학점이 필요한지,
과목은 어떻게 선택하고 공강 시간은 어떻게 활용하는지
학부모와 학생 모두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만 정리해드릴게요! 😊


고교학점제

✅ 고교학점제란?

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흥미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하는 제도입니다.
쉽게 말해, 고등학교가 ‘대학처럼’ 바뀌는 것이죠!

  • 수업 선택 = 내가 고른다
  • 공강 시간 = 생긴다
  • 졸업 요건 = 학점제 적용

고교학점제, 고등학교 수강신청, 고등학생 진로설계


🎓 졸업하려면 몇 학점이 필요할까?

졸업을 위해 필요한 학점은 총 192학점입니다.
그중 필수로 들어야 하는 공통과목 48학점은 1학년 때 대부분 듣게 돼요.

✅ 이수 기준:

  • 출석률: 2/3 이상
  • 성취도: 40% 이상
  • 미달 시: 학교에서 보충 지도 및 온라인 콘텐츠 제공

💡 못 채웠다고 포기할 필요 없어요!
학교가 방과 후, 방학 중 학습지원도 해준답니다.


📚 과목 선택은 어떻게 하나요?

2학년부터는 다음 세 가지 선택과목 중에서 본인이 원하는 걸 고를 수 있어요!

  1. 일반선택과목 – 수능 과목 기반 (문학, 미적분, 세계사 등)
  2. 진로선택과목 – 흥미/전공 탐색 (영상문학, 경제수학, 영어토론 등)
  3. 융합선택과목 – 실생활 연계 (기후변화, 실용통계, 영어회화 등)

📌 선택한 과목이 맘에 안 들면? → 과목 변경도 가능!
단, 인원 제한이나 시간 경과에 따라 제약이 있을 수 있어요.

선택과목 추천, 고교 진로 설계, 고등학생 수강신청


🕒 공강 시간? 고등학생도 생깁니다!

네, 진짜예요 😆
학생마다 듣는 과목이 다르다 보니 자연스럽게 공강 시간이 생겨요.
이 시간은 자율학습, 진로상담, 보충학습
개인 맞춤 활동 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, 생활기록부에도 반영될 수 있답니다!

고교학점제 공강, 생활기록부, 자기주도학습


🏫 우리 학교에 없는 과목은?

다른 고등학교, 지역 대학, 또는 온라인 학교에서도 수업을 들을 수 있어요.
이걸 공동교육과정이라고 부르며, 정식 학점으로 인정됩니다.

예를 들어:

  • 옆 고등학교에서 기후과학 수업 듣기
  • 대학 연계 영어 토론 수업 참여
  •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미디어 콘텐츠 수업 이수

💡 농어촌 지역은 더 많은 온라인 과목 허용됨!


📝 내신, 대입은 어떻게 바뀌나요?

교육부는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를 최소화하기 위해
성취도(A~E) + 석차등급(1~5등급) 병기 방식으로 평가 방식을 개편했어요.
또한 2028 대입 개편안이 이미 예정되어 있어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어요.


👨‍👩‍👧 학부모님, 꼭 아셔야 해요!

이제 자녀 교육은 더 이상 일방적인 교과 수업이 아닙니다.
자녀의 흥미, 진로, 역량에 맞춰 맞춤형 수업을 설계할 수 있는 시대!

지금부터라도 고교학점제의 핵심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,
자녀와 함께 과목 선택 전략을 세워보는 건 어떨까요?


✅ 정리하자면…

  • 졸업학점은 192학점 (공통 48 + 선택 144)
  • 대학처럼 과목 직접 선택
  • 공강 시간 → 의미 있게 활용 가능
  • 과목 변경 OK, 공동교육과정으로 어디서든 수강
  • 내신 성적은 성취도 + 석차등급 병기

 

📌 이 포스팅이 유익하셨다면 이웃 추가와 공감 부탁드립니다 🙌